본문 바로가기

[생각]세이프LEE가 말한다

"비(非)전공자" 안전관리자 되는 방법

반응형
 

#안전관리자#안전감시단#건설안전#산업안전#취업

안녕하세요. 세이프Lee입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안전관리자라는 직업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법의 강화로 인해 올해 7.1부터는 공사금액 50억원이상의 건설업에서는 법적으로 자격을 갖추고 있는 안전관리자를 선임하도록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수요는 많은 현재 안전관리자의 공급은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입니다.

그 동안 안전관리자라는 직업에 회의를 느끼고 이 업계를 떠나신 분들도 많고 안전관리자라는 직업이 또 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인력에 대한 부족이 생긴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이 처럼 안전관리자라는 직업이 많이 관심을 가지면서 현재 '산업안전기사','건설안전기사'등 안전관리자가 될 수 있는 법적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시험 응시가 매년 높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 시흥타임즈

 

그런데 안전자격증만 취득하면 안전관리자로 취업이 잘 되어서 업무를 잘 할 수 있을까요?

자격증은 당연히 안전관리자가 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 중에 하나입니다.

하지만 자격증만 취득하고 업무와 현장경험이 하나도 없는 사람을 회사에서 뽑으려고 할까요?

회사는 경험있는 안전관리자를 뽑아서 채용 후에 바로 현장에 투입하거나 업무를 바로 할 수 있는 자들을 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격증만 취득하고 무경력,무경험분들이 안전관리자로 취업하면 정말 많이 힘들 수가 있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非전공자가 안전관리자 시험을 보기 위해서는 먼저 시험 응시자격을 갖추셔야 합니다.

산업안전산업기사 시험 응시자격

안전관리자가 되기 위한 자격증은 '건설안전기사,산업안전기사,건설안전산업기사,산업안전산업기사' 가 있습니다. 비전공

자가 최소한의 경력 '2년'을 쌓으면 시험을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집니다.

그러면 2년의 경험은 어떻게 쌓아야 하는게 좋을까요?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통해 보시면 더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

 

 

반응형